복음의 열정

♥사도행전 20:17-24♥

17. 바울이 밀레도에서 사람을 에베소로 보내어 교회 장로들을 청하니

18. 오매 그들에게 말하되 아시아에 들어온 첫날부터 지금까지 내가 항상 여러분 가운데서 어떻게 행하였는지를 여러분도 아는 바니

19. 곧 모든 겸손과 눈물이며 유대인의 간계로 말미암아 당한 시험을 참고 주를 섬긴 것과

20. 유익한 것은 무엇이든지 공중 앞에서나 각 집에서나 거리낌이 없이 여러분에게 전하여 가르치고

21. 유대인과 헬라인들에게 하나님께 대한 회개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 대한 믿음을 증언한 것이라

22. 보라 이제 나는 성령에 매여 예루살렘으로 가는데 거기서 무슨 일을 당할는지 알지 못하노라

23. 오직 성령이 각 성에서 내게 증언하여 결박과 환난이 나를 기다린다 하시나

24. 내가 달려갈 길과 주 예수께 받은 사명 곧 하나님의 은혜의 복음을 증언하는 일을 마치려 함에는 나의 생명조차 조금도 귀한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노라

복음의 열정

24. 내가 달려갈 길과 주 예수께 받은 사명 곧 하나님의 은혜의 복음을 증언하는 일을 마치려 함에는 나의 생명조차 조금도 귀한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노라

본문은 바울이 3차 전도 여행을 마치고 예루살렘으로 가는 길에 에베소 장로들을 밀레도로 불러 마지막으로 권면하는 말씀입니다.

바울은 예루살렘에서 기다리는 고난과 결박을 알면서도, 성령에 매여 그 길을 가는데 주저하지 않고 순종했습니다. 따라서 24절은 사도바울의 핵심 고백이며,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선언이었습니다.

여기서 달려갈 길은 원어로 (δρόμος, dromos)인데, 달리기 경주를 의미합니다.

바울은 자신의 삶과 사역을 경기장에서 끝까지 완주해야 하는 달리기에 비유했습니다.

사명은 잠시 뛰다 멈추는 것이 아니라 끝까지 완주해야 하는 마라톤입니다.

사명은 직분이 아니라, 섬김의 직무를 의미합니다.

바울의 사명은 하나님의 은혜의 복음을 종처럼 섬기는 삶이었습니다.

바울은 '내 생명초차 귀한 것으로 여기지 아니한다'라고 고백합니다.

바울은 자신의 생명보다 복음을 더 값진 것으로 여겼습니다. 자기의 생명보다 더 귀한 가치가 복음이라는 신앙의 고백입니다.

데일리 말씀을 통해서 바울 자신의 목숨보다 더 귀한 가치로 여기는 복음의 열정을 묵상합니다.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사명의 우선순위를 점검합니다.

나는 무엇을 가장 귀히 여기고 있는가?

나의 생명, 나의 안전, 나의 편안함보다 복음을 더 가치있게 여기고 있는가?

사역은 잠시 달리다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끝까지 달려가는 길임을 깨닫습니다.

나의가정, 일터, 교회에서 복음의 증인으로 살아가는 것이 '나의 달려갈 길'임을 고백합니다.

나에게 맡겨진 사명, 해외 선교뿐만 아니라 일상의 자리에서 복음을 증언하는 작은 순종과 헌신이 있어야 함을 깨닫습니다.

[기도제목]

1.주님, 제 생명을 지키려는 마음보다, 주님이 맡기신 복음을 증언하는 사명을 더 귀히 여기게 하소서

2.끝까지 달려가게 하시고, 선교적 삶을 통해 주님의 은혜를 드러내게 하소서

3.GEM(지구촌초대)선교회를 향한 선교적 사명을 잘 감당할 수 있는 지혜를 허락하소서.

4.세계선교기도제목을 놓고 기도합니다.

파키스탄 – 소수 종교인들, 노동 현장에서 차별받고 있어

7월 29일, 국제엠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는 “파키스탄 위생 노동자들에 대한 차별과 낙인”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지난해 2월부터 9월까지 국제앰네스티는 파키스탄 인권단체인 ‘법과 정의 센터’(CLJ)와 협력하여 230명의 위생 노동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 응답자의 44%는 자신의 직업 때문에 주변 사람들로부터 무시와 낙인을 경험했다고 응답했고, 자신의 신분이나 종교적 정체성이 채용과 고용에 있어서 차별받는 결정적인 요소라고 인식하는 비율도 55%로 나타났다. 한 예로, 바하왈푸르(Bahawalpur) 출신의 한 남성은 전기 기술자 채용 면접을 봤지만, 기독교인이라는 사실이 밝혀지자 채용 담당자가 위생 관련 업무로 전환을 요구했다고 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44%만이 정규직이었고, 45%는 정규직 전환 요건을 회피하기 위해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은 상태였다. 월급이나 수당에 있어서도, 초과 근무 수당을 한 번도 받지 못한 노동자는 79%에 달했고, 최저임금(월 115달러) 미만을 받고 있는 노동자도 53%나 됐다. 또한 적절한 안전 장비가 제공되지 않아 알레르기나 만성 기침 등 건강 문제가 있는 경우가 응답자의 55%로 나타났다.

국제앰네스티 남아시아 지역 부국장인 라세(Isabelle Lassée)는 낮은 카스트와 소수 종교라는 이유만으로 노동 현장에서 부당한 대우를 받는 것은 사회적, 경제적 소외일 뿐만 아니라 국제법상 인권 침해에 해당한다면서 이들을 법적으로 보호할 필요가 크다고 지적했다.

파키스탄에서 소수 종교인들이 겪는 사회적 차별과 불평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특히 노동 현장에서 건강 악화와 생계 곤란으로 고통받는 노동자들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책이 마련되도록 기도하자.

(출처, www.amnesty.org)

한국선교연구원(krim.org) ‘세계선교기도제목’ 2025년 9월호

Previous
Previous

하나님의 섭리

Next
Next

믿음이 가져오는 큰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