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기도 쉬는 죄를 범하지 않겠습니다
♥사무엘상 12: 19~25♥
19 모든 백성이 사무엘에게 이르되 당신의 종들을 위하여 당신의 하나님 여호와께 기도하여 우리가 죽지 않게 하소서 우리가 우리의 모든 죄에 왕을 구하는 악을 더하였나이다
20 사무엘이 백성에게 이르되 두려워하지 말라 너희가 과연 이 모든 악을 행하였으나 여호와를 따르는 데에서 돌아서지 말고 오직 너희의 마음을 다하여 여호와를 섬기라
21 돌아서서 유익하게도 못하며 구원하지도 못하는 헛된 것을 따르지 말라 그들은 헛되니라
22 여호와께서는 너희를 자기 백성으로 삼으신 것을 기뻐하셨으므로 여호와께서는 그의 크신 이름을 위해서라도 자기 백성을 버리지 아니하실 것이요
23 나는 너희를 위하여 기도하기를 쉬는 죄를 여호와 앞에 결단코 범하지 아니하고 선하고 의로운 길을 너희에게 가르칠 것인즉
24 너희는 여호와께서 너희를 위하여 행하신 그 큰 일을 생각하여 오직 그를 경외하며 너희의 마음을 다하여 진실히 섬기라
25 만일 너희가 여전히 악을 행하면 너희와 너희 왕이 다 멸망하리라
나는 기도 쉬는 죄를 범하지 않겠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자신들의 죄를 깨닫고 두려워하며 사무엘에게 간청하며 말합니다.
'우리를 위해 기도해 주십시오'(19절)
그 순간, 사무엘은 그들을 정죄하기 보다 이렇게 말합니다.
'나는 너희를 위해 기도하기를 쉬는 죄를 여호와 앞에 결단코 범하지 아니하고, 선하고 의로운 길을 너희에게 가르칠 것이라'(23절)
사무엘에게 있어서 기도는 선택이 아니라 책임이며, 사랑의 실천이었습니다.
백성이 연약하여 죄를 범하며 실패했을지라도, 사무엘은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그들을 위해 기도했습니다.
사실, 죄를 범한 사람에게 판단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사람들은 아무생각없이 사람에 대해서 쉽게 판단하며 정죄하는 것을 보게 됩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거룩한 성도는 힘들고 낙심하여 포기된 사람들을 위해 기도하는 청지기로 부르심을 받았습니다.
특히 낙심한 가족, 방황하는 자녀, 신앙이 식은 지체들, 복음이 필요한 선교지를 위해 포기하지 말고 기도해야 합니다.
하나님은 기도하는 한 사람을 통해 역사하심을 깨닫습니다.
데일리 말씀을 통해 내가 기도해야 할 사람은 누구인지, 어느 민족인지를 점검합니다.
기도를 멈추는 것이 죄라는 사무엘의 고백처럼, 나도 기도의 자리를 지키기를 간절히 원합니다.
주님, 사무엘처럼 포기하지 않는 기도의 사람이 되기를 원합니다.
지치고 연약한 자들을 정죄하지 않고, 끝까지 기도로 붙들기를 원합니다.
나에게 보여주신 민족, 나라, 열방을 놓고 마음을 다하여 기도하는 자가 되게 하소서.
하나님의 말씀으로 날마다 승리하는 삶을 살게 하소서.
[기도제목]
1.내가 해야할 기도, 기도하기를 쉬는 죄를 범하지 않게 하소서.
2.이번주 정기모임에는 베트남 Outreach 미션 리포트와 간증(정영심, 정종필, 김석경)이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보여주신 것을 믿음으로 잘 설명할 수 있도록, 지혜주시기를 기도부탁합니다.
3.베트남 영어성경캠프( 7/14~19)를 위해 집중적으로 기도부탁합니다. 성경을 가르치는 선생님과 참여하는 학생들이 최고의 영어성경캠프가 될 수 있도록, 기도로 준비할 수 있도록 기도부탁합니다.
4.세계선교기도제목을 놓고 기도합니다.
탄자니아·말라위 – 양국 간 무역 갈등으로 소규모 상인들 생활 어려워져
지난 3월, 말라위는 지역 산업 지원 및 외환 부족 해소를 이유로 국경을 접하고 있는 탄자니아를 비롯해 몇 개 국가로부터의 농산물 수입을 금지하는 조치를 단행했다. 이에 대해 탄자니아도 4월에 말라위산 농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하면서 양국 간에 무역 분쟁이 발생했다.
말라위는 밀가루, 쌀, 생강, 바나나, 옥수수 등의 수입을 차단하면서 국내 생산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고, 뒤이어 탄자니아는 담배, 설탕, 토마토, 콩 등의 수입을 차단할 뿐 아니라 말라위 상품 수입 금지 조치를 위반한 상인들을 단속하고 체포하기까지 했다.
이렇게 무역 갈등이 한 달 이상 지속되면서 탄자니아와 말라위의 국경 인근에서 장사하고 있는 상인들은 전혀 수입 없이 물건이 썩어가는 것을 지켜봐야만 했다.
카롱고(Karonga)에서 바나나 장사를 하던 차냐(Jestina Chanya)는 탄자니아 농산물이라는 것이 밝혀져 모든 물건을 압수당했다고 말한다. 탄자니아 상인들도 국경 근처에서 수 톤의 토마토가 썩어가는 것을 그냥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다행히 5월 9일에 양국 간의 합의가 이뤄져 수입 금지 명령이 철회됐지만 앞으로도 이 문제가 반복될지 모른다는 우려도 있다.
말라위 대학의 정치학자인 틴드와(Ernest Thindwa) 박사는 말라위와 탄자니아가 각각 9월과 11월에 총선을 앞두고 있어 양국 지도자들이 국민들에게 신뢰를 얻기 위한 방안으로 무역 조치를 이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두 나라 사이에 경제적 신뢰 관계가 구축되어 상인들과 가난한 사람들이 갑작스럽게 어려움에 처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도하자.
(출처, www.bbc.com, www.aljazeera.com)
한국선교연구원(krim.org) ‘세계선교기도제목’ 2025년 6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