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족의 은혜

♥전도서 5:13-20♥

13. 내가 해 아래에서 큰 폐단 되는 일이 있는 것을 보았나니 곧 소유주가 재물을 자기에게 해가 되도록 소유하는 것이라

14. 그 재물이 재난을 당할 때 없어지나니 비록 아들은 낳았으나 그 손에 아무것도 없느니라

15. 그가 모태에서 벌거벗고 나왔은즉 그가 나온 대로 돌아가고 수고하여 얻은 것을 아무것도 자기 손에 가지고 가지 못하리니

16. 이것도 큰 불행이라 어떻게 왔든지 그대로 가리니 바람을 잡는 수고가 그에게 무엇이 유익하랴

17. 일평생을 어두운 데에서 먹으며 많은 근심과 질병과 분노가 그에게 있느니라

18. 사람이 하나님께서 그에게 주신 바 그 일평생에 먹고 마시며 해 아래에서 하는 모든 수고 중에서 낙을 보는 것이 선하고 아름다움을 내가 보았나니 그것이 그의 몫이로다

19. 또한 어떤 사람에게든지 하나님이 재물과 부요를 그에게 주사 능히 누리게 하시며 제 몫을 받아 수고함으로 즐거워하게 하신 것은 하나님의 선물이라

20. 그는 자기의 생명의 날을 깊이 생각하지 아니하리니 이는 하나님이 그의 마음에 기뻐하는 것으로 응답하심이니라

만족의 은혜

18. 사람이 하나님께서 그에게 주신 바 그 일평생에 먹고 마시며 해 아래에서 하는 모든 수고 중에서 낙을 보는 것이 선하고 아름다움을 내가 보았나니 그것이 그의 몫이로다

전도서는 솔로몬이 인생의 모든 것을 경험한 후에 남긴 지혜의 기록입니다. 그는 세상의 부와 명예, 쾌락을 다 누려봤지만 '헛되고 헛되다'고 고백합니다.

본문은 '재물의 허무함'을 보여 줍니다. 사람들은 부를 쌓으면 행복해질 것이라 믿지만, 전도자는 오히려 그것이 '자기에게 해가 된다'고 말합니다.

13. 내가 해 아래에서 큰 폐단 되는 일이 있는 것을 보았나니 곧 소유주가 재물을 자기에게 해가 되도록 소유하는 것이라

재물이 늘어 나면 늘어날 수록 자신에게 해가 되는 이유는 부가 늘어날수록 근심과 불안도 함께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결국 재물은 사람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사라질 수도 있으며 죽을 때는 아무것도 가지고 가지 못합니다.

15. 그가 모태에서 벌거벗고 나왔은즉 그가 나온 대로 돌아가고 수고하여 얻은 것을 아무것도 자기 손에 가지고 가지 못하리니

18절에서 전도자는 하나님께서 주신 각자의 몫, 즉 분복이 있다고 말합니다.

여기서 몫은 헬렉( חֵלֶק, cheleq)으로서, 단순히 소유를 뜻하는 단어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나에게 허락하신 삶의 자리, 은혜로 주신 한 부분을 의미합니다.

전도자가 말하는 만족은 많이 가지고 있는 데서 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내게 주신 것을 '하나님의 선물'로 인식할 때 오는 평안입니다.

그러므로 만족은 은혜이지 결과가 아닙니다.

인간은 수고하지만 그 결과가 언제나 자신의 뜻대로 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믿음의 사람은 그 불완전한 속에서도 하나님께서 주신 기쁨을 누릴 수 있습니다.

19. 또한 어떤 사람에게든지 하나님이 재물과 부요를 그에게 주사 능히 누리게 하시며 제 몫을 받아 수고함으로 즐거워하게 하신 것은 하나님의 선물이라

이 말씀은 기쁨 자체가 하나님이 주시는 선물임을 보여줍니다.

인간의 노력으로 만족을 쟁취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나의 마음속에 감사와 만족을 심어주실 때만 진정한 행복을 맛볼 수 있음을 깨닫습니다.

데일리 말씀을 통해 만족의 은혜를 묵상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더 많은 것'을 소유해야만 행복할 것이라 믿지만, 하나님은 오히려 내게 주신 몫을 감사히 누리라고 말씀하십니다.

사역의 결과보다 사명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며 충성하는 것이 얼마나 아름다운 삶인가를 묵상합니다.

세상은 끊임없이 더 가지려 하지만, 복음은 하나님이 주신 것으로 만족할 때 진정한 자유가 있다고 말씀합니다.

오늘의 일, 사람, 환경이 하나님께서 내게 허락한 몫(cheleq)임을 기억합니다.

내 인생의 크고 작은 일들을 '하나님의 선물'로 받아들입니다.

만족은 성취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신뢰하는 마음에서 온다는 것을 깨닫고, 하나님을 더욱 신뢰하기를 기도합니다.

[기도제목]

1.주님, 내 삶의 몫을 주신 하나님께 감사드리게 하소서

2.사역의 결과보다 하나님이 주신 은혜를 누리는 마음을 허락하소서

3.GEM(지구촌초대)선교회에 허락하신 몫을 잘 감당하게 하소서

4.세계선교기도제목을 놓고 기도합니다.

아르헨티나 – 복음주의 교회, 공식적으로 법적 지위 인정받아

7월 말, 아르헨티나 행정 당국은 대통령령으로 복음주의 교회들의 법적 지위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2014년 민법 개정으로 가톨릭 이외의 복음주의 교회들도 회계 감사나 자료 제출과 같은 의무 조항들이 사라졌지만 실제적으로는 전혀 변화 없이 정부 규제는 계속되어 왔다.

2년 전에 밀레이(Javier Milei) 정부가 출범하면서 복음주의 교회에 대한 지원과 관심이 고조되었다.

2024년 2월에는 처음으로 복음주의 교회들이 운영하는 무료 급식소에 대한 정부 자금 지원이 시작됐고, 올해 7월 초에 밀레이 대통령은 아르헨티나 최대 규모의 복음주의 교회인 ‘천국의 문 교회’(Portal del Cielo)의 개관 예배에 참석하기도 했다.

그리고 마침내 밀레이 대통령은 전국의 비가톨릭 종교 단체를 종교 법인으로 인정하는 시행안에 서명했다. 이로 인해 부에노스아이레스주(州) 경찰 당국에서도 처음으로 보안 요원들을 위한 복음주의 사목 기관을 개설했다.

아르헨티나 복음주의교회연합(ACIERA)은 성명을 통해 30년 이상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 온 결과에 감사하면서, 앞으로 더욱 기독교인들이 종교 자유와 평화를 위해 헌신해 줄 것을 당부했다. 아르헨티나에서 복음주의 기독교 인구는 2008년까지 9%에 불과했지만, 2019년 국립과학기술연구위원회(CONICET)의 조사 결과 15.3%까지 증가했고, 최근 비공식적 자료에 따르면 20%를 넘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번 조치를 계기로 복음주의 교회들이 지역사회를 돌보고 섬기는 일에 더욱 힘을 모으고, 교회들이 자칫 정치화되거나 부패할 수 있는 우려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고 더욱 투명하고 건강하게 발전해 나가도록 기도하자.

(출처, evangelicalfocus.com, www.batimes.com.ar)

한국선교연구원(krim.org) ‘세계선교기도제목’ 2025년 10월호

Next
Next

하나됨에서 자라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