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망에서 은혜까지

♥사무엘상 7:7-12♥

7. 이스라엘 자손이 미스바에 모였다 함을 블레셋 사람들이 듣고 그들의 방백들이 이스라엘을 치러 올라온지라 이스라엘 자손들이 듣고 블레셋 사람들을 두려워하여

8. 이스라엘 자손이 사무엘에게 이르되 당신은 우리를 위하여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 쉬지 말고 부르짖어 우리를 블레셋 사람들의 손에서 구원하시게 하소서 하니

9. 사무엘이 젖 먹는 어린 양 하나를 가져다가 온전한 번제를 여호와께 드리고 이스라엘을 위하여 여호와께 부르짖으매 여호와께서 응답하셨더라

10. 사무엘이 번제를 드릴 때에 블레셋 사람이 이스라엘과 싸우려고 가까이 오매 그 날에 여호와께서 블레셋 사람에게 큰 우레를 발하여 그들을 어지럽게 하시니 그들이 이스라엘 앞에 패한지라

11. 이스라엘 사람들이 미스바에서 나가서 블레셋 사람들을 추격하여 벧갈 아래에 이르기까지 쳤더라

12. 사무엘이 돌을 취하여 미스바와 센 사이에 세워 이르되 여호와께서 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셨다 하고 그 이름을 에벤에셀이라 하니라

절망에서 은혜까지

본문은 회복의 전화점입니다.

이스라엘은 오랜 기간 우상숭배와 영적 둔감함 속에 있었고, 블레셋에게 법궤를 빼앗기며 모멸을 당해 왔습니다. 그러나 미스바에서 금식하며 회개한 이스라엘은 하나님께로 다시 돌아섰고, 하나님께서는 블레셋을 이기게 하셨습니다. 그러자 사무엘은 돌을 취하여 '여호와께서 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셨다' 하고 미스바와 센 사이에 세웠습니다.

12. 사무엘이 돌을 취하여 미스바와 센 사이에 세워 이르되 여호와께서 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셨다 하고 그 이름을 에벤에셀이라 하니라

데일리 말씀을 통해 하나님의 도우심을 묵상합니다.

은혜는 회개한 자리에서 역사함을 깨닫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미스바에서 우상을 제거하고 금식하며 기도했을 때, 하나님은 그들의 회개에 응답하셨습니다.

하나님의 도우심은 인간이 방식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하나님은 군대가 아닌 '큰 우레'로 블레셋을 혼란케 하셨습니다. 이는 전쟁은 인간의 무기로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임재에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블레셋과의 전쟁에 승리하자, 사무엘은 돌을 세웁니다.

기억하지 않는 은혜는 사라집니다.

사무엘이 하나님의 은혜를 기억해서 세운 돌은 다음 세대에게 흘러갑니다.

다음 세대가 '왜 이 돌이 여기에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지게 합니다.

기념비는 하나님의 도우심을 기억하는 복음의 통로가 됩니다.

데일리 말씀을 통해서 나의 삶에 적용합니다.

하나님께서 일하신 자리마다 '영적 돌'을 세우기를 원합니다.

내 마음과 기록속에 '에벤에셀'을 남겨 하나님께서 도우신 일을 계속해서 기억합니다.

또한 '하나님께서 여기까지 도우셨다'는 고백이 있을 때, 앞으로도 과거의 은혜처럼 하나님께서 이끄신다는 확신과 신뢰로 나아갈 수 있음을 깨닫습니다.

오늘도 말씀을 통해서 에벤에셀을 선포하며 하루를 시작합니다.

'하나님께서 여기까지 도우셨다'

'하나님께서 지금도 역사하신다'

'하나님께서 나를 지켜주신다'

'하나님께서 나와 함께 하신다'

[기도제목]

1.주님! 에벤에셀의 하나님을 기억하며 하루를 시작하게 하소서

2.베트남은 1억 2천만명이 살고 있는 나라입니다. 그 중에서 기독교인은 0.2~3%입니다. 캄보디아는 약 1800만명이 살고 있는 나라인데, 불교가 98%입니다. 개신교인은 0.3%입니다. 이 땅에서 신앙인으로 살아가는 성도들이 지치지 않고 그들의 믿음을 지켜주시기를 기도합니다.

3.베트남 성탄절 콘서트에 초대된 32명의 사람들이 모두 참석하여 복음을 듣고 구원의 백성이 되도록 기도부탁합니다.

4.세계선교기도제목을 놓고 기도합니다.

이스라엘 – 지난 2년간 요르단 서안지구 내 기독교인의 생활 힘들어져

2023년 10월에 시작됐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의 전쟁이 휴전 상태에 접어들었다. 지난 2년 동안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 6만 7천 명 이상이 사망했고, 17만 명에 달하는 무고한 사람들이 부상을 입었다.

이스라엘은 2년 전 하마스 대원들에 의해 살해된 1,200명을 비롯해 2년간의 전쟁에서 군인 8백 명 이상이 숨진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또한 이 기간 동안 271명의 언론인과 224명의 인도주의 구호 활동가도 숨진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전쟁으로 이렇게 안타까운 일이 발생한 가운데 이스라엘의 요르단 서안지구(West Bank)에 거주하는 팔레스타인 기독교인의 생활도 더욱 힘들어졌다. 전쟁이 시작되면서 팔레스타인에 대한 이동 제한과 함께 검문, 검색이 강화됐다. 서안 지구에 있는 849개의 검문소에서는 수시로 신분증 검사가 실시됐고, 때로는 휴대폰 검사도 진행됐다.

이 때문에 매일 검문소를 통과해 출퇴근해야 하는 아와드(Christine Awad)는 통근 시간이 10배 가까이 늘었고, 친구 중 한 명은 알몸 수색을 당한 적도 있다고 말했다. 동예루살렘 출신인 아자지안(Simon Azazian) 목사는 지난 2년 동안 300만 명이 넘는 서안 지구 주민들이 물 부족을 겪었다고 전했다.

2017년에 국제앰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에서도 하루 평균 약 300리터의 물을 소비하는 이스라엘 국민들에 반해 서안 지구 사람들은 73리터만 소비하고 있어 물 부족이 심각하다는 소식을 알린 적이 있다. 또한 아자지안 목사는 서안지구의 경기 침체와 일자리 부족으로 지난 2년 동안 160가구의 기독교 가정이 이 지역을 떠났고, 현재도 400가구가 이민 비자를 신청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영구적인 평화 협정이 체결되어 전쟁과 폭력이라는 불안한 상황에서 고통받고 있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평화로운 일상이 찾아오도록 기도하자.

(출처, www.christianitytoday.com)

한국선교연구원(krim.org) ‘세계선교기도제목’ 2025년 11월호

Next
Next

하나님의 마음